손재호 목사 Profile
창원한결교회 담임목사
연락처 : 010-3585-3604
E-mail : sohnbanaba@hanmail.net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more
tag list

댓글 0조회 수 18956추천 수 0
?

단축키

이전 문서

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이전 문서

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존 녹스(J Knox)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발제: 이은선(안양대학교)

 

들어가는 말

 

낙스는 스코틀랜드에서 종교개혁이 성취되고 그 후에 국가 규모에서 공인된 장로교회를 최초로 수립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 종교개혁자였다.

 

낙스의 생애에 대한 논문을 쓰라는 요청을 받았는데, 낙스의 일생의 중요사건들을 서술한 후에 그와 관련된 중요 문제들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을 개괄적으로 정리해 본 후에 결론에서 본인의 의견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국내에서는 아직도 Knox를 낙스 혹은 녹스로 표기할 것인지 결정되지 않은 채로 혼용되고 있다. 스코틀랜드에서의 정확한 발음에 따라 통일된 표기가 결정되어야 하겠다.

 

국내에서 그에 대한 연구 상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존 낙스에 대한 최초의 소개는 민경배에 의해 번역된 『존 녹스의 생애와 사상』이었다.1)

 

낙스에 대한 학위논문은 1985년에 본인이 쓴 「John Knox의 정치사상」이후로 석사 15편, 박사 1편이 나왔다.2) 학술논문은 홍치모가 1978년에 신학지남에 기고한 “John Knox와 계약사상의 형성”의 최초이고,3) 그 후에 낙스에 대한 제목이 달린 논문이 11개가 발표되었다.4) 저술로는 홍치모가 1991년에 『칼빈과 낙스』를 출판한 이후에 2권이 출판되었고,5) 번역서는 5권이 나와 있다.6) 물론 이 외에도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사와 관련된 논문들에서 낙스에 대한 간헐적인 언급들이 있다.

 

I. 낙스의 생애와 사역

 

1. 낙스의 출생과 교육

 

낙스(John Knox, 1514-1572)는 1514년경7)에 스코틀랜드의 에딘버러에서 서쪽으로 약 24키로의 거리에 위치한 이스트 로티안(East Lothian)주 지역의 하딩톤(Haddington) 교외의 기포트게이트(Giffordgate)에서 농부8)의 아들로 태어났다.9) 그는 하딩톤에서 교육을 받은 후에 성 앤드류 대학에서 존 메이저(John Major, 1479-1550) 밑에서 공부하였다.10) 베자는 낙스가 자신과 동향출신인 유명한 존 메이저 아래서 성 앤드류 대학에서 공부했다고 서술한다.

 

메이저는 1531년부터 성 앤드류 대학에 있었다. 그런데 낙스는 존 메이저에 대해 언급조차 한 적이 없고, 그가 이 대학을 졸업했다는 기록도 없다. 그렇지만 낙스는 훌륭한 라틴어를 구사하였고 헬라어와 히브리어를 알 뿐만 아니라 초대교부들의 글에도 익숙한 것으로 보아 훌륭한 대학교육을 받은 것은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11) 그는 사제로서 처음으로 언급되는 1540년 이전 어느 시기에 서임을 받았다. 그는 1543년 5월에 사제로서 공증서류에 서명하는 것을 볼 때 이때까지는 로마가톨릭에 머물고 있었다. 그는 사제였지만 사제직을 수행한 것이 아니라, 개인교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여러 해 동안 롱니드리(Longniddry)의 휴 더글러스 가문( Hugh Douglas)과 오미스톤의 존 콕버언(Cockburn)의 자녀들을 가르치고 있었는데, 이들은 친영파로 영국의 종교개혁에 대하여 호의적이었다.12)

 

그는 1545년 말에 공적으로 개신교 신앙을 고백한 것으로 보인다. 칼더우드(Calderwood)에 따르면, 도미니크 수도회 소속이면서 1543년에 잠시동안 섭정이었던 아란(Arran) 백작의 사제였던 토마스 길리암(Thomas Guillaume)이 처음으로 “낙스에게 진리의 맛을 제공했다”고 한다.13) 베자는 그의 개신교로의 변화를 어거스틴과 제롬의 연구에 돌렸다. 그러나 낙스의

 

개신교로의 회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인물은 1544년에 유럽에서 돌아와 개혁사상을 전파했던 조지 위샤트(George Wishart)인 것으로 보인다. 위샤트가 1545년 12월에 이스트 로티안에 왔을 때 낙스는 그를 만나 그의 가르침을 들었고 그 이후에 양날 달린 칼을 들고 그를 호위하였다. 위샤트가 체포되어 비튼 주교에 의해 처형될 때, “희생자는 한 사람으로 족하다”고 말하여 낙스는 피신하여 죽음을 모면하였다.14)

 

2. 성 앤드류에서의 사역

 

그는 위샤트의 처형에 격분하여 비튼 주교를 살해한 사람들이 성 앤드류 성으로 피할 때 자신이 가르치던 학생들과 함께 그곳에 합류하였다.

 

낙스는 자신이 쓴 『종교개혁사』의 설명에 따르면 존 로우(John Rough)의 지명의 의해 1547년에 설교자가 되어 로마가톨릭의 우상숭배를 신랄하게 비난하는 강력한 설교를 하였다.15) 낙스는 1547년 7월 말에 프랑스군이 와서 성 앤드류 성을 함락시켰을 때 포로가 되어 19개월 동안 프랑스 갤리선의 노예가 되었다. 그는 여기서 심각하게 건강을 잃었으나, 하나님께서 자신을 버리지 않으실 것이고 조국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인내하였다.

 

 

3. 영국에서의 사역(1549-54)

 

그는 영국 정부의 간섭으로 1549년 3월에 석방이 된 후에 스코틀랜드에서는 가톨릭 세력 때문에 거의 활동을 할 수 없었으므로, 에드워드 6세하에서 종교개혁이 진행되던 영국으로 건너가 목회활동에 전념하였다. 그는 처음에 스코틀랜드 국경 밑에 있으면서 덜함(Durham) 교구에 속해있는 버위크(Berwick)에서 목회를 하였다. 제일공도서(Book of Common Prayer)가 출판되었고 미사를 대치하도록 법으로 제정되었지만, 덜함 주교는 미사 시행을 계속해서 지원하였다. 낙스는 이 교구에서 개혁파 교리를 설교한 첫번째 인물이었고 많은 회심자를 얻었다. 그는 그 후에 버위크와 함께 덜함교구가 자리 잡은 뉴캐슬(NewCastle)에서 목회를 하다가 1552년에 런던으로 와서 왕 앞에서 설교하는 직분을 맡았다. 당시 영국은 성공회 체제 하에서 점진적인 개혁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감독제도가 시행되고 있었다.

 

그런데 낙스는 성공회 체제 하에서 사제가 된 것이 아니라, 추밀원에서 직접적으로 개혁파 설교자로 위촉을 받아서, 교구의 재판권에서 독립되어 있었다. 그는 1552년에 로체스터(Rochester)의 주교직을 제의받았으나 거절하였다. 그가 이 제의를 거절한 것은 목회에 대한 책임감과 당시 영국 예식서에 대한 거부감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16) 당시에 낙스는 감독제도에 대해서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었나? Cowan은 그가 주교직을 거절했지만 감독제 자체에 대해서는 크게 반대하지 않았다고 하였으나, 낙스의 성공회의 가톨릭적인 요소를 반대하는 것을 볼 때 그가 계급제도인 감독 제도를 지지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

 

낙스는 1552년에 개정되는 공도서에서 성찬식에서 무릎 꿇는 것에 대하여 반대하였다. 그가 반대했지만, 성찬식에서 무릎 꿇는 규정이 들어가자 그는 이 의식이 숭배하는 의미가 없다는 것을 명시하는 주서(Black Rubric)를 달도록 주장하여 관철시켰다. 이 해 가을에 42개 신조를 작성할 때에도 성찬식에서 무릎을 꿇는 공도서의 내용이 성경과 일치한다는 조항이 들어가자 낙스와 함께 개혁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협력하여 이 조항과 관련하여 이 신조의 교리는 성경과 일치해야 한다고 규정하도록 수정하였다.17)

 

낙스는 이 시기에 영국의 개혁자들보다는 훨씬 더 개혁파의 입장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8)

 

4. 대륙에서의 망명생활(1554-1559)

 

낙스는 1553년 7월에 즉위하여 가톨릭으로 복귀한 메리 튜더의 박해를 피해 1554년 1월에 대륙으로 망명하였다. 그는 1554년 9월에 칼빈의 권유로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영국 피난민 교회의 목회자로 초빙 받아 갔다.

 

그는 윌리험 휫팅햄(William Whittingham)과 크리스토퍼 굳맨(Christopher Goodman) 등과 함께 공도서를 대치할 예배모범(Book of Common Order)을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그는 여기서 엘리(Ely)의 주교였던 콕스(Cox)와 공도서 사용문제로 논쟁을 하다가 사임을 하고 제네바로 돌아왔다.19)

 

콕스를 중심한 영국인들은 성직자 복장 사용, 성공회식 성찬식 거행, 그리고 공도서를 사용하여 영국교회의 얼굴을 가지기 원했으나, 낙스는 공도서보다 더욱 개혁된 예배의식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낙스는 프랑크푸르트 교회가 그리스도의 얼굴을 가지기 원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영국인들과의 갈등뿐만 아니라 당시 신성로마제국 황제인 찰스 5세를 네로에 못지않은 폭군이라고 발언한 것이 원인이 되어 낙스는 추방을 당하여 1555년 3월에 제네바로 돌아왔다. 이러한 낙스의 개혁활동에 대해 로이드 존스는 첫 번째의 청교도 교회구축 활동이라고 언급하기도 하였다.20)

 

낙스는 제네바로 돌아온 후에 영국 피난민들의 목회자로 초빙 받아 목회를 하였다. 낙스와 지지자들은 제네바로 돌아온 후에 프랑크푸르트에서 예배논쟁과 관련된 입장을 변호하기 위하여 책들을 편집하였다. 그들은 1556년 2월에 『예배모범』(Forme of Prayers and 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을 영어와 라틴어로 출판하였는데, 성공회의 공도서와 구별되는 개혁파의 원리에 따른 예배 모범이었다.21)

 

이것이 1560년 스코틀랜드에서 Book of Common Order로 채택이 되었다. 이와 함께 운률 시편이 출판되었으며, 1558년에 확장되어 1561/2년 영어판뿐만 아니라 1564/5년의 스코틀랜드 판에 통합되었다. 예배에서 운율시편의 사용은 영국성공회의 단성 시편 사용과의 결별이었다.22)

 

낙스는 8월에 스코틀랜드를 방문해 달라는 초청을 받고 9개월 동안 그곳에 머물면서 여러 지역에서 개혁파의 교훈들을 전파하였다. 낙스는 종교개혁에 호의적인 인물들에게 우상숭배인 미사에 참여하지 말도록 설득하면서 개혁파의 방식에 따른 성찬식을 거행하도록 초청하였다. 그는 1556년 3월에 에딘버러의 고위성직자들 앞에 출석하라고 소환되었으나, 제네바로 귀환하여 목회를 재개하였다. 그는 스코틀랜드에 머무는 동안에 마조리 보위즈(Marjorie Bowes)와 결혼하고 그의 장모와 함께 제네바로 돌아왔다.

제네바로 귀환한 후에 낙스는 1557년 5월에 다시 스코틀랜드로 돌아오라는 초청을 받고 9월에 디페(Dieppe)에 갔으나, 조국으로 귀환하지 말라는 편지가 도착하여 있었다. 그는 여기서 다시 초청을 기다리면서 종교개혁을 촉진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저술활동을 하였다. 그는 1554년 1월에 대륙으로 망명하면서 우상숭배하는 통치자에게 순종해야 하는지, 여성이 통치자가 될 수 있는지, 여성이 통치자가 되어 우상숭배를 강요할 때 하위통치자들은 저항해야하는지, 하위통치자들이 저항할 때에 백성들도 함께 참여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그의 질문에 대해 칼빈과 불링거 등은 신중한 대응을 할 것을 주문하면서 저항에 대하여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낙스는 당시에 영국에서는 메리 튜더(Mary of Tudor)가 개신교도들을 박해하고 있었고, 스코틀랜드에서는 메리 기즈(Mary of Guise)가 섭정으로 종교개혁을 방해하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개혁 방해를 극복하고자 편지를 쓰게 되었다.

특히 매리 튜더에 대한 정치적인 혁명을 주장하며 쓴 것이 유명한 『여성의 괴물 같은 통치에 반대하는 첫 번째 나팔 소리』(The first blast of trumpet against the monstrous regiment of women)이다. 그는 디페에서 스코틀랜드로의 귀환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서 다시 제네바로 돌아와 영국인들을 위한 목회를 하면서, 또한 스코틀랜드 귀족들에게 종교개혁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도록 촉구하는 『호소문』(Appellation)과 일반 백성들도 영적 신분의 동등성에서 개혁에 참여하도록 권면하는 편지를 썼다.23)

 

영국의 메리 튜더가 사망하여 영국 피난민들이 귀환하였을 뿐만 아니라,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활동이 어느 정도 진전이 되자 1559년 1월 제네바를 떠나 귀국길에 올랐다.

 

5. 귀환과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성취

 

낙스는 1559년 5월 2일 에딘버러에 도착하였다. 개혁파 당파는 그가 부재하는 동안에 더욱 성장하였다. 이들은 1557년 12월에 처음으로 교회를 개혁하겠다고 약속하는 언약을 체결하였다. 이 언약체결에 가담한 인물들은 5명의 귀족들이었다.24) 이들은 lords of congregation이라고 명명했는데, 종교개혁을 지지하는 귀족동맹이었다. 이들이 1557년에 낙스의 귀국을 요청했었다.

 

그러나 섭정인 매리 기즈가 자신의 딸인 매리 스코츠(Mary of Scots)를 프랑스의 프랑소와 2세와 결혼을 시키기로 결정하자 몇 명의 귀족들은 이러한 결혼에 찬성하여 개혁세력에서 이탈하게 되었고, 그래서 낙스에게 귀국하지 말도록 요청하였다. 그렇지만 그 후에 개혁당의 세력이 확대되어 몇 차례의 언약을 체결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활동으로 종교개혁이 진척되는 가운데, 낙스는 귀국하게 되었다. 섭정은 개혁당 세력을 무력으로 진압하고자 하여 스코틀랜드는 내란의 위기에 빠져 들어갔다.

 

이 때 낙스는 귀국하여 강력한 설교를 하여 스코틀랜드 군의 사기를 북돋았고, 이러한 그의 사역에 대해 하나님의 나팔수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그는 아주 담대하게 로마가톨릭의 미사를 우상숭배라고 외쳤고 그 결과로 과격한 사람들이 교회를 “정화”하고 수도원을 파괴하기 시작하였다. 당시에 정치와 종교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는데, 낙스는 스코틀랜드를 프랑스의 속박으로부터 해방시키려고 분투하였다. 엘리자베드 1세는 낙스의 『첫 번째 나팔소리』 때문에 스코틀랜드의 지원을 주저하였으나, 스코틀랜드가 프랑스의 수중에 들어갈 경우에 영국에 미칠 위험을 고려하여 1560년 2월에 에딘버러 조약을 맺고 스코틀랜드의 지원을 결정하였다. 이 때 섭정이 1560년 6월에 사망하고 영국군의 후원을 받으면서 개혁당들이 승리하였다. 개혁당이 승리한 후에 영국군과 프랑스 군의 철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은 1560년 8월의 총회 소집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종교개혁이 가까워질 때, 낙스를 중심한 개혁당에 소속한 목사들은 스코틀랜드 신조, 제1치리서, 예배모범의 세 가지 문서를 작성하여 종교개혁에 필요한 실질적인 문서들을 작성하였다.

 

6. 메리의 귀국과 낙스의 개혁활동

 

프랑스에서 메리의 남편인 프랑소와 2세가 마상시합을 하던 중 갑자기 사망하자 그녀는 1561년 8월에 귀국하였다. 그녀가 귀국한 후에 낙스는 종교개혁에 중대한 위협을 느끼고, 그녀의 미사에 대하여 강력하게 공격하였다. 이러한 그의 강력한 공격을 통해 5번의 여왕과의 면담이 이루어졌고, 여기서 낙스는 백성들의 저항권을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결국 메리가 1567년 영국으로 망명함으로써 모레이(Moray) 공이 섭정이 되어 종교개혁이 추진되었다. 낙스는 1572년 11월에 사망하였다. 낙스는 종교개혁을 수행하는 동안에 자신을 하나님으로부터 부름받은 예언자라는 의식을 가지고 활동하 였다.

 

II. 낙스의 저술

 

낙스의 저술은 6권의 전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집은 1864년 David Laing에 의해 편집되어 낙스 연구의 기본적인 원전이 되었다.

 

Lorimer가 1875년에 출판된 John Knox and the Church of England에서 몇개의 편지를 발굴한 이후에 낙스에 대한 새로운 원전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는데,25) 최근에 낙스가 그의 동료인 크리스토퍼 굳맨(Christopher Goodman)에게 보낸 5통의 편지가 발견되었다.26) 전집 가운데 1권과 2권은 낙스 자신이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역사에 대해서 쓴 것이다. 그러므로 낙스의 종교개혁활동의 기본적인 사실들은 그가 쓴 『종교개혁사』(History of Reformation in Scotland)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3-4권은 낙스가 종교개혁 과정에서 쓴 글들이다. 3권은 1948년부터 1554년까지 쓴 글들로 주로 10개로 되어 있다. 특히 1554년에 대륙으로 망명한 후에 자신인 남겨 두고 떠났던 회중들에게 3개의 편지가 들어있다.

 

14개의 글로 구성되어 있는 4권의 내용을 보면, 낙스가 프랑크푸르트에 가서 겪었던 일들, 제네바의 영국인 회중들의 예배 모범, 그리고 1558년에 디페에서 썼던 4가지 글인들 The first blast of the Trumpet against the Monstrous Regiment of Women, A Letter to the Queen Dowager, Regent of Scotland, Augmented and Expanded by the Author, The Apellation from the sentence pronounced by the bishop and clergy, Addressed to the nobility and Estates of Scotland, 1558, A Letter addressed to the Commonalty of Scotland, 1560. Summary of the Proposed Second Blast of the Trumpet 등이다.

 

5권은 재세례파 저자가 쓴 내용을 반박하면서 예정론을 옹호하여 쓴 글이다. 그리고 6권은 이사야 26장 13-21절에 대한 설교, Book of Common Order, 칼빈의 소요리문답 번역 등과 함께 낙스가 주로 다른 사람들과 주고 받은 서신 내용이다.

 

III. 낙스의 설교와 성경해석

 

낙스의 개혁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그는 기본적으로 종교개혁자이자 설교자이며, 목회자라는 것이다.27) 낙스는 1547년 성 앤드류 성에서 설교를 시작한 이후 영국에서 1549년부터 1554년까지 설교를 하였고, 대륙으로 망명한 후에도 프랑크프루트와 제네바에서 영국의 피난민들에 설교하였으나, 1559년에 귀국해서 종교개혁과정과 그 후에도 지속적으로 설교를 하였다. 낙스는 헬라어와 히브리어와 함께 저지대 스코틀랜드어, 영어, 그리고 불어 등을 알아 국제적인 설교자가 될 수 있었다.28) 그러므로 낙스의 설교자로서의 특성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그는 “나는 주님의 나팔을 불기를 사랑한다”고 말하였다. 하나님의 나팔수가 되어 그의 나팔을 분다는 것이 그의 설교에서 핵심적인 의식이었다. 따라서 이 “나팔수 주제가 그의 사고의 중심이 되었다.” 혹은 Douglas MacMillan이 표현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설교와 설교만이 성취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총체적인 헌신이 낙스를 인간, 기독교인, 그리고 개혁자로서 이해하는 실질적인 열쇄를 제공한다.”29)

 

그의 설교는 우상숭배인 로마 가톨릭교회를 무너뜨리고 개혁된 참된 교회를 세우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30) 그러므로 그의 설교는 우상숭배를 공격하면서 이스라엘 나라의 종교를 개혁하려고 했던 구약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의 설교는 구약에 대한 과도한 강조, 그리고 그 구약 본문을 거의 문자적으로 해석하면서 그 내용을 당시의 영국 혹은 스코틀랜드에 그대로 적용하면서 이루어졌다.

 

그의 설교는 기본적으로 칼빈의 영향을 받은 강해설교였다. 그러므로 그는 설교본문을 정한 후에 성경 본문의 한절 한절을 설명한 후에, 그 내용을 당시의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현실에 적용하면서, 청중들이 종교개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결단을 촉구하였다. 그러므로 낙스는 자신을 거의 구약의 예언자들로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예언자로서의 사명감을 가지고 우상숭배를 정화시켜 예배의 순수성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낙스는 개혁파 신학을 확실하게 이해하였고, 그 신학을 토대로 강력한 설교를 하였다. 그는 성경을 철저하게 연구하였고, 교부들을 신학의 안내자로 삼으면서 설교자가 되었다. 그는 성경을 최고의 권위로 삼으면서 강단에서 권위있는 말씀의 선포자가 되었다. 그는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최고의 권위를 가지고 있다고 믿으면서 그 성경에 기초하여 설교하였다. 그는 성경의 권위뿐만 아니라 성경의 명료성을 주장하였다. 그는 이러한 성경의 명료성을 확신하면서 성경의 문자적인 해석을 추구하였다. 그래서 구약의 사건들에서 당시의 문제들로 나아가는 해석방식을 취하였다. 그는 1559년부터 1572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주일에 두 번, 주중에 세 번 정도의 설교를 하였다. 낙스는 설교할 때에 한 권의 책을 선택하여 전체적으로 강해설교를 하는 경우도 있었고, 필요한 경우에는 특별한 교리들을 선택하여 그 주제에 대하여 설교하기도 하였다.

 

낙스의 설교는 그의 하나님의 불변성과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그의 신관과 구약에 대한 과도한 강조에 의존하여 이루어졌다.31) 낙스의 설교는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 종교개혁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고, 스코틀랜드의 설교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낙스의 설교는 그의 성경 해석, 특히 구약 성경 해석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키일에 따르면 낙스는 구약을 과도하게 강조하였고, 구약을 거의 문자적으로 해석하면서 자신을 선지자로 인식하는 선지자적 해석의 특색을 가지고 구약을 해석하는데 그의 해석학의 특징이 있다.32) 그의 신학의 유일성과 급진성의 근원은 바로 구약을 해석하는 그의 독특성에서 나오는데, 그가 신약보다 구약을 현저하게 강조한 이유는 그가 추구했던 개혁 활동, 종교의 정화, 언약, 민족적 규모에서 추진되는 공동체적 종교의 개혁, 그리고 우상숭배(로마 가톨릭)를 추진하는 통치하는 당국자들에 대한 저항 등의 내용이 주로 구약에서 나오기 때문이었다.33)

 

낙스는 구약의 사건들을 스코틀랜드 당시에 그대로 적용할 정도로 구약을 강조한다. 그의 구약의 강조는 신명기 12장 32절에 근거하여 신구약성경의 차이점보다는 연속성을 강조하면서 생겨난다. 이 구절을 출발점으로 삼아 이러한 문자적인 구약 해석의 결과들은 종교를 정화하려는 낙스의 추진력, 그리고 차례로 우상숭배하는 통치자들에 대한 그의 저항 개념들에 대한 동기를 제공하는데서 분명하게 드러난다.34)

 

그의 구약성경 해석의 두 번째 특징은 문자적인 해석이다. 종교개혁자들이 성경의 문자적인 의미를 강조했지만, 루터는 기독론 중심의 해석원리를 가지고, 칼빈은 성령의 내적 조명을 강조하면서 그렇게 한 데 반해, 낙스는 츠빙글리를 따르면서, 성경의 실질적인 내용보다는 성경 기록 문자의 의미 그대로 해석하는 문자적인 해석을 하였다. 낙스는 성경을 현재의 상황과 문제들에 대한 선행하는 사례들의 기록으로 해석하여, 직접 현실에 적용시키는 상당히 급진적인 개혁자였다. 따라서 여기서 우상숭배자들에 대한 과격한 저항사상이 나오게 된다.35)

 

낙스의 세 번째 성경 해석의 특성은 예언자적 해석이다. 낙스는 자신이 예언자라는 의식을 가지고 성경을 해석하여 이 거의 그대로 구약을 현실에 적용하는 방법의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36)

 

낙스는 예언자로서 스코틀랜드와 영국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하였고37) 해석자로서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저항의 논리를 세웠으나, 목회자로서 그는 구약뿐만 아니라 신약을 설교하였고, 그러한 설교에서 하나님의 사랑과 용서를 전파하였다.

 

IV. 낙스의 『종교개혁사』(History of Reformation in Scotland)

 

낙스의 저술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그의 『종교개혁사』이다. 낙스는 『종교개혁사』4권을 저술했다.38) 4권 가운데 가장 먼저 저술된 것이 『종교개혁사』 2권으로 낙스가 1559년 5월에 귀국해서 1559년 11월까지의 과정에 관한 내용을 서술하였다.39) 그는 스코틀랜드의 대변혁이 종교를 정화하는 개혁활동이 아니라 왕실에 대한 반역이라는 비난과 공격에 대해 자신의 개혁활동의 정당성을 변호하려는 선전문으로 저술하였다.

 

이러한 비난에 대한 답변으로 그는 자신과 동맹한 당파들의 반란과 내란은 종교를 개혁하려는 순수한 활동이고 프랑스의 전복으로부터 스코틀랜드의 오래된 자유를 지키려는 노력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2권은 스코틀랜드의 개혁지지자들뿐만 아니라 영국의 지원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영국의 개혁파들을 대상으로 저술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1560년에 영국의 도움으로 종교개혁이 성취되자 출판되지는 않았다. 그 후에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그는 역사의 제3권을 쓴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다시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이 위기에 봉착한 것은 1565-6년이었다. 이 때 낙스는 Kyle에 퇴거하여 있으면서, 앞의 두 권을 수정한 후에 1권과 4권을 쓰게 되었다. 그는 먼저 1442년부터 1558년까지 스코틀랜드에서 종교개혁을 주장하다 순교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나서 1564년 6월까지의 종교개혁 이후의 개혁의 진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4권을 쓰게 되었다. 2권은 종교개혁의 정당성을 변호하기 위하여 쓴 책이었다.

 

그런데 3권이 추가되면서 이 책은 출애굽의 책이 되었다. 그들이 개혁된 교회 안에서 하나님의 새로운 십계명을 준수하는 것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하나님의 교회를 보존해야 했다. 다시 말해 치리서의 내용에 따라 교회를 완전하게 개혁해 나가야 했다.

 

그러나 스코틀랜드는 이러한 개혁을 진행한 것이 아니라 미사를 드리는 여왕인 Mary of Scots를 받아들이면서 개혁을 위태롭게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낙스는 1560년 개혁 이전의 스코틀랜드의 순교의 이야기를 써서 1권을 완성하였다.

 

낙스는 결국 다시 우상숭배인 옛날로 돌아가면 1권의 내용과 같은 순교의 이야기가 계속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하였다. 그리고 나서 그는 제4권을 저술하면서 백성들이 우상숭배하는 왕과 어떻게 싸워야할 것인지를 설명하는 기독교인의 의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40)

 

그의 History의 성격에 대하여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졌는데, Peter Hume Brown은 이 저술을 “엄연한 자서전”이라고 하였고, Gordon Donaldson은 낙스의 메모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강조했고, J. D. MacKie는 역사에서 “전기작가 낙스는 역사가 낙스보다 부차적”이라고 생각했고, Ridley 는 “개인의 자서전이 아니라 한 운동의 연대기 기록”이라고 하였다.41)

 

Kirk는 History가 메모라면 1권이 거의 다 지나가도록 자신을 소개하고 자신을 현저하게 드러내지 않는 면에서 설득력이 없다고 지적한다.42) 낙스는 이 작품에서 자신을 3인칭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은 메모나 자서전에서는 보기 힘든 측면이다. 낙스는 이 작품을 쓰면서 원자료가 부족한 것을 알고 있으면서 더 정확한 자료를 구하고 있으므로(IV, Works, 121), Jenny Warmald의 표현같이 이 책은 오히려 하나님의 백성들의 긴 여정,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하나님의 일부 백성들의 긴 여정이라 묘사할 수 있겠다.

 

커크는 낙스에 대해 역사가들이 당혹스러운 정도의 역설로 제시한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그의 참된 인간성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용감한 겁쟁이에서 그의 진실을 찾으려고 한다.43) Kirk는 낙스의 진실을 찾으려고 한다면, 낙스 한 사람보다는 낙스와 함께 했던 사람들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라고 말한다.44)

 

이 책을 저술하는데 낙스가 가지고 있었던 역사관은 무엇인가? 낙스의 역사가 가지고 있는 사관은 두 가지로 특징지을 수 있다. 하나는 낙스가 역사를 통해서 하나님께서 일하시고 계시는 섭리의 특징을 찾으려고 하는 섭리사관이다.45)

 

낙스는 섭리의 관점에서 역사를 해석하는데 칼빈의 이론적인 섭리관을 역사의 구체적인 정황 속에 적용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론적인 차원에 머무르는 칼빈보다 낙스는 예언자의 의식을 가지고 역사 현장에서 훨씬 더 구체적인 역사의 결과를 섭리라는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46) 또한 낙스는 하나님의 본성과 역사에 대한 단선적인 이해를 가지고 역사의 섭리사관을 설명한다. 낙스는 하나님의 불변성과 주권성의 속성을 가장 강조하는데, 이 동일하신 하나님께서 구약에 우상숭배자들을 처벌하셨으므로 16세기 스코틀랜드의 우상숭배자들도 처벌하실 것이라고 선언하였다.

 

그는 이러한 결론을 끌어내기 위해 구약성경을 거의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당시의 현실에 무비판적으로 적용하였다.47) 낙스는 1554년에 메리 여왕하에서 고통당하고 있던 영국의 성도들에게 하나님께서 다른 예후를 일으키셔서 그들을 구출하실 것이라고 위로하면서 구약의 예후의 사건의 인물들을 당시 영국의 인물들과 일대일로 대비시켰다. 이러한 그의 역사 이해에서 역사는 사건의 재연인 것같이 보인다.

 

둘째는 묵시론적인 관점이다. 낙스는 구약의 예배에 대한 교훈을 거의 문자적으로 채용하여 영국과 스코틀랜드에 적용하면서 참된 교회와 우상숭배하는 교회가 싸운다는 묵시적인 역사 이해의 특성을 드러낸다.48) 묵시적이란 말은 영국 전통에서 양극화된 우주관, 사건의 파국적인 설명, 예언과 예언의 성취에 대한 굳건한 믿음의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낙스에게는 첫째와 둘째가 크게 확장되어 나타난다.

 

그는 1559년에 예정론에 대한 논문을 쓰면서, 어거스틴의 두 도성의 분명한 이분법을 인정하는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더욱 날카롭게 만들어, 두 교회를 두 군대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두 군대는 역사를 통하여 싸웠는데, 낙스 시대에는 참된 교회와 악한 교회인 개신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의 싸움으로 나타났다.49)

 

낙스는 1559년 종교개혁을 추진하기 위하여 귀국한 후에 이러한 섭리사관과 묵시론적인 역사관을 종합하여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사를 저술하기 시작하여 1571년까지 계속하였다.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주권적인 통제와 두 개의 전투하는 진영으로의 세계의 분열에 대한 개혁자의 확신이 그에게 남아있어 종교개혁사의 주요한 주제가 되었다.50)

 

종교개혁사의 1-3권은 교회사에서 경건한 자들의 승리를 기록하고 4권은 그 교회의 하나님의 순수한 말씀으로부터의 타락상을 제시한다. 이러한 폭넓은 패턴 안에서 낙스는 묵시적-섭리적 사관에 초점을 맞춘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사를 저술하였다. 낙스는 종교개혁사에서 양자의 싸움을 정치적인 의미에서 서술하지 않고 거룩한 성도들과 우상숭배자들 사이의 성전으로 묘사하였다.

 

그리고 셋째는 Healey가 말하는 바와 같이, 그가 강단에서 말할 수 없을 때 하나님의 백성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야 한다는 것을 글로 선포했던 설교로서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History는 연대기적인 역사책이 아니라, 하나님을 유일하게, 순종적으로, 그리고 불굴의 자세로 의지하는 기독교인들의 의무에 대한 확장된 설교이다.”51) 특히 4권은 이러한 그의 사상의 성경적인 근거를 변호하면서 이 내용을 1561년에서 64년 사이에 일어난 사건들에 대한 해설로 사용하도록 만들어 준다. 4권에서 낙스는 예언자적인 사명을 가지고 스코틀랜드의 영적인 죄를 지적하면서 하나님께 돌아와 종교를 정화하는 사명을 감당하라고 귀족들뿐만 아니라 백성들에게 촉구하고 있었다.

 

넷째로 일부 학자들은 낙스의 역사가 가지고 있는 문학적인 특성과 함께 민족성의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낙스가 영어를 사용하여 스코틀랜드어가 쇠퇴하고 영국화가 촉진되었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낙스가 역사를 쓸 때에 영어와 함께 스코틀랜드어를 쓰고 있으므로, 이것이 스코틀랜드어의 특성을 무너뜨리고 영국화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는 적합하지 않은 것같다.52)

 

V. 낙스의 예정론과 재세례파의 만남

 

낙스가 예정론에 대한 논문 On predestination, in Answer to the Cavillations by An Anabaptist를 쓴 것은 제목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재세례파를 반박하려는 목적 때문이었다.

 

예정론을 재세례파를 공격하는데 사용한 점에서 낙스는 츠빙글리와 불링거의 방식을 사용하였고, 내용에서는 칼빈의 영향을 받았다.53) 츠빙글리와 불링거와 낙스는 구원에 대한 논의의 근거를 경험, 이신칭의, 세례에 대한 호소로부터 예정으로 이동시켜 급진파들 의 주장을 뿌리로부터 제거시켰다.

 

이 논문에 대해 그리브스(Greaves)는 실제로 재세례파를 반박하려는 것이 아니라, 『첫 번째 나팔 소리』를 저술한 후에 당혹감에 빠져 있었던 칼빈의 마음을 돌리려고 썼다고 주장하나,54)

 

재세례파의 잘못된 주장을 반박하려고 이 글을 쓴다는 낙스의 주장을 반박할 실질적인 근거는 없다. 그는 예정론을 논리정연한 조직신학적인 방식이 아니라, 재세례파의 주장을 인용하며 반복적 방식으로 비판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의 저술목적은 실천적이고 목회적일 뿐만 아니라 요한복음 17장에 근거하여 자신의 개인적인 선택을 고백하는 점에서 개인적인 것이었다.55)

 

그리고 제네바에서 칼빈이 1551년에 제롬 볼섹과 예정론 논쟁을 한 후에 제네바에서 1550년대에 많은 예정론 관련 저술들이 쏟아져 나왔는데, 이러한 시대 분위기 속에서 낙스도 예정론에 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56)

 

낙스는 예정론에서 칼빈을 자주 언급할 뿐만 아니라 내용에서 거의 칼빈과 일치한다. 그는 예정론이 없으면 참된 믿음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여57) 주로 구원론과 관련시키면서 신론과 섭리론, 교회론, 인간의 본성, 그리고 선행 등과도 관련시킨다. 예정론은 하나님의 불변하고 주권적인 작정이므로58) 섭리론의 맥락 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59) 교회는 선택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60)

 

선택의 교리는 인간을 참으로 겸손하게 만들며, 이 겸손이 모든 덕과 선행의 뿌리가 되므로, 예정론이 성화와 선행의 교리를 확립한다.61) 그는 선택과 유기의 이중예정을 믿는다.62) 그는 이러한 주장이 성경이 아니라 논리의 산물이라는 재세례파의 비난에 대해 이중 예정은 성경적이고 논리가 그 산물이라고 주장한다.63) 재세례파는 하나님의 모든 사람들에 대한 보편적인 선택을 주장하나, 낙스는 성경이 이것을 가르치지 않는다고 분명하게 반대한다.64) 그는 예지에 근거하여 예정을 주장하는 재세례파를 비판하면서 전능하신 능력에 따른 하나님의 예정의 자유를 강조한다.65)

 

낙스는 재세례파의 이러한 예지가 인간의 자유의지에 근거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렇지만 키일에 따르면 방법론과 환경의 차이 때문에 칼빈과 약간 차이가 있는 부분도 있다.66) 유기 교리에서 낙스는 칼빈과 의견을 약간 달리하여, 칼빈이 유기의 원인으로 간과와 정죄를 모두 인정하지만, 낙스는 간과에 더 강조점을 두고 있다.67) 이렇게 된 원인은 낙스가 자신의 저술에서 칼빈의 기독교강요 1539판과 1550년판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칼빈이 1559년판에 이르러서야 간과와 처벌을 분명하게 설명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낙스와 목회자와 설교자로서 재세례파와 논쟁하면서 간과를 선택하는 편이 부담이 적었기 때문이었을 수도 있다.68)

 

칼빈은 인간의 유기에서 하나님의 비밀한 뜻보다는 자신의 죄를 주목하도록 강조하는데, 낙스는 모든 일은 하나님의 뜻 안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강조하는 입장을 취한다.69)

 

낙스는 『세례에 관하여』 라는 글에서 로마가톨릭의 세례, 재세례파의 재세례, 세례의 의무에 대하여 대답하였다. 그는 재세례파의 재세례의 위협에 대하여 심각하게 느꼈기 때문에, 로마가톨릭의 의식 하에서 유아세례받은 사람들에게 재세례를 실시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70) 낙스는 유아세례 거부에 대한 비판과 함께 재세례파 전체를 뮌스터의 대재앙와 동일시되는 하는 경향이 있다.

 

낙스가 재세례를 반대한 것은 하나님의 언약은 지속적이고 확실하기 때문에, 하나님의 집에 들어가는 의식을 두 번째로 반복할 필요가 없다. 그의 판단에 따르면 재세례는 하나님의 불변성과 하나님의 선택을 부정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선택에 대해 후회하실 수 없으시니, 다시 그 외적 의식인 세례로 되돌아갈 필요가 없다.71) 그의 신학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세례는 수세자가 선민이고 칭의를 받았을 때에만 중생을 나타낼 수 있다.72)

 

V. 낙스의 종교개혁 문서들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이 성취되어갈 때, 낙스를 비롯한 다섯 명의 Johns(John Winram, John Spottiswoode, John Wilock, John Douglas, John Row)이 모여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를 작성하였다. 이 신앙고백서는 낙스가 영국에서 망명해 온 사람들을 제네바에서 목회하면서 작성해서 칼빈의 승인을 받아서 사용하던 것을 수정해서 의회에 제출하여 승인받은 것이다.73)

 

이 문서는 국회의 승인을 받았으나, 메리 여왕이 반대하여 1567년까지는 공표되지 못하였다. 이 신앙고백서는 1560년 8월에 종교개혁을 승인하는 의회를 소집하기 직전에 종교개혁을 지지한 귀족들의 요청으로 6명의 John이 모여 4일 만에 작성한 것이다. 이들이 4일만에 작성한 이 문서는 일반적으로 제네바에서 사용하던 것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인정되는데, 리이드(Reid)는 낙스가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 제네바로 오가는 과정에서 자주 접촉했던 프랑스 신앙고백서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한다.74) 이 신앙고백서는 25장으로 되어 있는데, 신론(1장), 인간창조(2장)와 원죄(3장), 구약에서의 약속의 계시(4장)와 교회의 지속과 보존과 증가(5장), 성육신(6장)과 신인이신 중보자(7장), 선택(8장), 그리스도의 죽음, 고난, 장사(9장), 부활(10장), 승천(11장)으로 구성된 그리스도론(6-11장), 성령에 대한 신앙(12장), 선행의 원인(13장), 하나님 앞에서의 선행(14장), 율법의 완전과 인간의 불완전(15장)으로 구성된 성령론(12-15장), 교회(16장), 영혼의 불멸(17장), 참교회와 거짓교회의 구별과 교회의 교리판단권(18장), 성경(19장), 총회와 소집권(20장)으로 구성된 교회론(16-20장), 성례전(21장), 성례전의 올바른 거행(22장), 성례전 참여자(23장)으로 구성된 성례론(21-23장), 행정관료(24장), 최후심판(25장)으로 되어 있다.75) 이러한 25장의 신앙고백서는 성부(1-5), 성자(6-11), 성령(12-15), 교회와 국가(16-24), 종말(25)로 구성되어 사도신경의 구조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76)

 

이 신앙고백서는 성경의 권위에 대하여 특히 강조하며,77) 4장과 5장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성경과 신학에 대한 계시사적이고 구속적인 접근(언약사상)을 강조하며, 예정론에 입각하여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역만으로 구원이 이루어진다는 신독력주의 구원이해, 에덴동산에서부터 시작하여 각 시대에 교회를 모으시고 보존하시고 인도하시는 성경적인 교회 이해, 구속된 자들의 삶과 실천을 강조하는 정통적 실천을 강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78)

 

그리고 개혁주의의 성례관을 상당히 강조하고 있다. 이 고백서는 교회의 표지로서 말씀의 참된 선포와 성찬의 올바른 시행에 권징을 추가하여 3개의 표지를 제시한다.79) 앞의 두 개의 표지만을 제시했던 칼빈과 달리 이 신앙고백서는 권징을 추가하여 치리를 강조하는 개혁교회의 특징적인 표지관을 제시한다.

 

낙스를 중심으로 한 지도자들은 1560년 4월에 스코틀랜드 교회의 조직과 정치체제를 규정한 『제일치리서』(First Book of Discipline)를 만들었다.

 

리이드는 이 치리서도 일 년 전에 비슷한 규정을 만들었던 프랑스교회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말한다.80) 치리서는 관리들이 우상숭배를 철폐하여 신앙의 건전한 성장을 후원해야 하는 반면에 교회 치리에서는 간섭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한다. 또한 제일치서를 만든 목적은 가톨릭교회가 소유하고 있던 토지를 개혁교회에 귀속시켜 각 마을마다 교회와 학교를 하나씩 지어 전국적인 개혁을 달성하려는 것이었다.81) 이러한 제안은 개혁파에 가담하여 교회토지를 소유했던 귀족들의 재산에 커다란 위협이 되어 결국 제일치리서 는 의회에서 거부되었다.82)

 

이와 함께 부족한 설교자들을 어떻게 육성하여 각 교회에 배치하여 진정한 개혁을 이룩할 것인지도 주요한 관심사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교회에 성경을 읽어주는 독경사(reader)와 함께 순회감독(Superintendent)직이 설치되었다. 이 순회감독직의 설치에 대해 Gordon Donaldson은 낙스가 감독제도를 인정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특히 Donaldsons은 장로교의 기원에 대해 낙스의 고별 연설이 감독을 인정함으로 감독제로 기울어져 있었고, 그 기원은 멜빌에게 돌려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83)

 

그러나 Stanford Reid는 이것은 목회자가 심각하게 부족한 스코틀랜드의 상황에 따른 잠정적인 직책이었고, 그들이 일반 목사들에 대한 상위계급이란 개념이 없었으므로, 낙스가 장로제도를 인정한 것이 확실하다고 주장하였다.84) 도날드슨은 치리서가 순회감독직을 인정하여 장로교 성격이 모호하였는데, 그 후에 멜빌이 제2치리서를 작성하면서 장로교의 성격이 분명해 졌다고 주장하였다.85) 커크(Kirk)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두 가지 점을 비판하였다.

 

첫째로 장로교의 기원이라고 주장되는 제2치리서를 작성한 사람들의 대다수가 낙스와 함께 종교개혁에 가담하였고 제1치리서를 작성한 사람들이었다. 그러므로 양 문서 사이에 장로교정치제도의 차이보다는 연속성이 더 많아 보인다.86) 둘째로 제2치리서를 작성하는데서 멜빌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주장은 거의 근거가 없다.87) 그러므로 장로교의 기원을 멜빌에게 돌리는 것은 타당성이 없다.88)

 

낙스를 중심으로 한 개혁파 지도자들이 작성한 또 하나의 문서가 Book of Common Order이다. 이것은 낙스가 1554년에 영국교회의 Book of Common Prayer 사용에 반대해서 프랑크푸르트에서 작성했던 것을 1566년 제네바에서 출판한 것89)을 스코틀랜드 교회의 예배지침서로 채택한 것이다.

 

이 예배지침서는 1564년 총회에서 채택되었다. 이것은 예전이라기보다는 예배지침서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VI. 낙스의 저항사상에 대한 연구

 

낙스는 1554년 1월 대륙으로 망명할 때에도 적어도 두 가지 사상을 인정하고 있었다. 첫째 관리들 혹은 영주들, 국가의 고위 공직자들은 군주가 우상숭배를 억압하고 종교를 개혁하도록 강요해야 하며, 둘째로 불법적인 통치자에게 불순종하는 것이 정당하다.90) 낙스는 대륙으로 망명하면서 여성들이 왕이 되어 전제정치가가 되어 우상숭배를 강요할 때, 관리들과 백성들이 어떻게 해야 하느냐? 하는 문제에 대하여 칼빈과 불링거 등에게 질문을 하였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긍정적인 답을 듣지 못한 낙스는 1558년에 이르러 구약성경을 중심으로 성경과 교부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글들을 저술하였다. 이러한 저항에 대한 낙스의 견해는 구약의 계약사상과 스코틀랜드의 전통적인 Band 사상을 토대로 발전되어 하나님과의 계약을 어기는 왕과 전제적인 통치자들에게는 저항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는 이러한 저항에서 하급통치자들뿐만 아니라 백성들도 저항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이러한 사상은 1558년의 The First Blast, Appellation, Letter to Commonality 등에 나타나 있다는 것이 대부분의 연구자들의 기존의 해석이었다.91) 낙스가 First Blast와 메리 스코츠와의 면담 등에서 전제적인 여성통치자들에 대한 저항을 주장했는데, 이것은 여성에 대한 비하가 목적이 아니라, 종교개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우상숭배하는 전제적인 여성통치자들의 반대를 극복하는 것이었다.92)

 

이러한 해석에 대해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것이 Dawson의 논문이다. Dawson는 1991년에 "The Two John Knoxes: England, Scotland and the 1558 Tracts"라는 논문을 쓰면서93) 지금까지 대부분의 학자들이 낙스의 1558년의 논문들을 저술대상과 내용들을 올바르게 분석하지 못하였다고 비판하면서 낙스의 이중적인 정체성을 제기하였다.

 

도슨에 따르면 낙스는 스코틀랜드인이었지만, 1549년부터 1554년 1월까지 영국에서 목회를 하였고, 그 이후에 대륙 망명기간에도 몇 차례 스코틀랜드를 방문하기는 했지만, 영국인 망명자들의 목회자였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슨은 낙스가 이러한 망명기간을 통하여 영국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1558년에 메리 튜더에 대해 공격하는 The First Blast를 쓸 때는 여왕과 그녀의 조력자들을 폐위하는 정치적인 혁명을 주장한 반면에, 스코틀랜드의 귀족들과 평민들에게 편지를 쓸 때는 개신교에 관대한 섭정인 메리 기즈에 대한 정치적인 저항을 요구하지 않았고, 개신교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종교지도자들에 대한 점진적인 개혁만을 요구하였다는 것이다.94)

 

이러한 도슨의 주장은 지금까지 낙스의 영국과 스코틀랜드 정치권력에 대한의 태도의 차이를 간과한 점을 올바르게 지적하였다. 그러면 도슨이 낙스가 영국인과 스코틀랜드인의 이중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그에 대한 정치적인 정체성을 중심한 해석은 타당한가? 이에 대해 안신은 도슨의 정치적인 정체성 해석이 현 영국의 상황을 16세기에 투영시켜 낙스의 종교인으로서의 종교적인 정체성을 정치적 정체성으로 환원시켜 그의 스코틀랜드인의 정체성을 제대로 보지 못했다고 비판한다.95)

 

오히려 낙스의 종교인으로서의 종교적 정체성 가운데 목회자(제사장)로서의 정체성과 예언자(개혁자)로서의 정체성이 충돌하고 있다고 해석한다. 그의 영국과 대륙에서의 망명생활에서의 활동은 그의 목회자로서의 정체성에 충실한 것이고, 망명기간 동안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의 참여에 소극적이었던 것도 제네바의 망명자들에 대한 목회자로서의 책임감 때문이었다고 해석한다.96)

 

안신의 연구는 16세기 종교개혁 당시의 낙스의 종교개혁자로서의 종교적인 정체성을 통해 그의 스코틀랜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밝힌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낙스의 저항사상의 차이점을 설명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도슨의 연구에 대해 돌프(Scott Dolff)는 비판적인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돌프는 낙스가 메리 튜더에 대한 정치적인 혁명을 요구한 것은 영국은 언약된 국가였기 때문인 반면에, 스코틀랜드 귀족과 평민들에게는 종교적인 개혁만을 요구한 것은 아직 계약된 민족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도슨의 주장을 비판하고 있다.97) 따라서 도슨은 낙스의 언약 이해에 따라 낙스가 언약의 의무를 말하는데서 일관성이 없었고, 특히 스코틀랜드에 언약을 적용하여 우상숭배에 저항하라는 선동에서 낙스가 잘못 말했다고 결론을 내린다.

 

도슨은 낙스의 언약의 범주에 대해 구약의 이스라엘, 언약 하의 이방인, 그리고 언약 밖의 이방인이란 세 가지 범주로 보았다. 따라서 낙스는 영국이 언약 하의 이방인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메리 튜더에 반대하는 정치적 혁명을 요구한 반면에, 스코틀랜드에 대해서는 언약 밖의 이방인이기 때문에 초대교회의 로마제국같이 점진적인 개혁을 요구했다는 것이다.98)

 

그러나 돌프는 도슨이 낙스의 언약의 분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낙스는 Appellation에서 언약하의 이방인을 언약 속에 있다가 최근에 배교한 경우(영국)와 심한 결점 하의 언약 상태(스코틀랜드)의 두 가지로 구분했다는 것이다.99) 스코틀랜드는 심한 결점 하의 언약 상태였고, 그에 따라 언약의 의무를 전국적으로 시행할 능력이 없었으므로, 그들의 도시와 지방, 성의 제한된 지역에서 가톨릭 성직자들을 대상으로 점진적인 개혁을 요구했다는 것이다.100)

 

이러한 개혁의 요구는 그들의 지정적인 상황에 따른 요구로 돌프는 이것을 하나님의 실용주의라고 불렀다. 나중에 낙스는 메리 여왕과 면담할 때 우리가 힘이 있을 때는 개혁해야 한다는 입장을 주장하는데, 이것이 바로 실용주의라고 이해한다.101)

 

VII. 나가는 말

국내에서 낙스에 대한 연구는 권태경을 중심으로 약간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 아직은 활발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편이다. 낙스에 대한 스코틀랜드와 영국에서의 연구는 그를 상당히 상반된 모습으로 그리고 있으며,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기에 접어들어 과거의 낙스의 상을 전설과 신화에 덧입혀진 것으로 보고 그의 인간적인 모습을 찾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연구 가운데 낙스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끈다.

 

낙스의 종교개혁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함께 그것이 스코틀랜드어와 문화의 고유성을 잠식하고 영국과의 국가연합을 이루는데 미친 영향도 큰 연구 주제라고 보여진다. 도슨의 연구로 시작된 낙스의 정체성과 저항이론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들을 통해 낙스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진척되기를 기대해 본다.

 

각 주

 

1) 이 책은 제임스 메큐엔(James S. McEwen)의 책 The Faith of John Knox를 번역한 것으로 기독교서회에서 1964년에 출판되었다.

 

2) 박사학위는 권태경, “존 낙스(John Knox)의 개혁사상 연구: 계약사상과 저항사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이다. 석사학위 논문은 다음과 같다: 한민수, “John Knox의 저항사상에 관한 고찰,” (고려대학교 교육학석사논문, 1990); 강의현, “John Knox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 신학석사논문, 1990); 남수은, “John Knox의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에 미핑 칼빈의 영향,” (서울신학대학 신학석사논문, 1900); 김상식,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연구: 존 낙스를 중심으로” (서울신대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2); 김남용, “낙스의 종교개혁,” (건국대학교 교육학석사논문, 1994), 이유선, “존 낙스의 계약사상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학석사논문, 1996); 이금순, “존 낙스의 종교개혁과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학석사, 2002), 김성훈, “John Knox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에 미친 영향,” (칼비대학교 신학석사논문, 2004); 장덕희,“.John Knox의 재세례파 비판과 그의 《On Predestination》에 나타난 실천적 의미에 대하여,” (안양대학교 신학석사학위논문, 2004): 박성호, “낙스 예정론의 실천적 의미,” (안양대학교 신학석사논문, 2004); 김흥수,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에 관한 연구,” (칼빈대학교 신학석사논문, 2007); 최선, “John Knox의 정치사상 연구,” (총신대학교 신학석사학위논문, 2007); 정도훈, “존 낙스의 종교개혁사상이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의 신학과 제도에 미친 영향,” (숭실대학교 신학석사논문, 2010); 오정교, “존낙스의 생애와 사상,” (광신대학교 신학석사논문,2011); 양혁승, “개혁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 제네바의 칼빈(John Calvin, 1509-64)과 스코틀랜드의 낙스(John Knox, 1514-72)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신학석사학위논문, 2011).

 

3) 홍치모, “John Knox와 계약사상의 형성,” 「신학지남」 45/1 (1978), 65-76.

 

4) 정정숙, “죤 낙스의 교육사상 연구,”「신학지남」 49/2 (1982), 132-158.

 

홍치모, “ohn Knox 연구에 관한 노트 - 회고와 전망 -,”「신학지남」 51/4 (1984),144-157.

 

박희석, “죤 낙스의 역사철학,” 「신학지남」60/4 (1993), 151-173.

 

서요한, “스코틀란드의 종교개혁과 낙스의 개혁 원리,” 「개신논집」1 (1994), 115-154.

 

권태경, “존 녹스(John Knox)의 개혁사상과 여성통치,”「신학지남」 66/3 (1999), 283-303.

 

최은수, “ohn Knox에 대한 제 연구.”「개혁 신학」11 (2001), 155-170.

 

Tae Kyoung Kwon, John Knox and English Reformation, 1549-1553. Chongshin Review 8 (2003), 218-242.

 

최선, “ohn Knox의 정치사상 연구,”「역사신학논총」13 (2007). 258-289.

 

최선, “존 낙스(John Knox, 1554-1572)의 생애와 사역,”「역사신학논총」14 (2007). 305-327.

 

권태경, “존 낙스(John Knox)와 존 윈람(John Winram)과의 논쟁,”「총신대논총」27 (2007), 221-237.

 

권태경, “존 낙스의 <역사> 텍스트 분석과 그 성격,”「기독교와 어문학」8 (2011), 87-103.

 

5) 홍치모, 『칼빈과 낙스』(서울: 성광문화서, 1991); 황봉환, 『스코틀랜드 종교개혁과 낙스의 신학』(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1); 최선, 『존 낙스의 정치사상』(서울: 그리심, 2008).

 

6) W. Stanford Reid, The Trumpet of God, 서영일역, 『죤 낙스의 생애와 사상:하나님의 나팔수』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4); G, Smith, Barnett G, Martin, Dorothy, John Knox: the Scottish Reformer, 보이스사 편집부역, 『존 녹스와 종교개혁』(서울: 보이스사, 1988); Martin Dorothy, John Knox, 생명의 말씀사 편집부역, 『존 낙스의 생애』(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David Campbell & Brian H. Edwards, Travel with John Knox : in the footsteps of scotland's great reformer, 이용중역, 『존 녹스와 떠나는 여행』(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6); Martyn Lloyd-Jones, David & Iain H Murray, John Knox and Reformation, 조계광역. 『존 녹스와 종교개혁』(서울: 지평서원, 2011).

 

7) 낙스의 출생 연대는 1905년에 그의 출생 400주년 기념식을 행할 때까지는 John Spottiswoode의 History of Church of Scotland를 근거로 1505년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그 이후 H. Fleming이 Beza가 1580년에 당시 종교개혁자들의 간략한 전기를 기록한 Icones p. 223에서 낙스 사망 당시의 나이가 57세라고 한 것을 근거로 그의 출생연대는 1514-1515년이라고 주장하여 현재 받아들여지고 있다.

 

Icones는 http://archive.org/details/bezasiconesconte00mccr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그는 1564년 총회 석상에서 자신의 조상이 Bothwell 장군 휘하에서 싸운 적이 있다고 언급한 적이 있을 뿐 이 이상 그의 가문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다. 낙스 자신이 쓴 History of Reformation in Scotaldn에서도 자신의 가문이나 출생에 대해서 아무 것도 언급하지 않는다. 그의 아버지는 William Knox이고 어머니는 Sinclair가 출신이었다. 그의 동생인 William은 영국과의 교역에 종사하였다. 낙스의 아버지는 하딩톤 지역의 실력자였던 보스웰 백작의 휘하에 살았던 농부였던 것으로 보인다.(졸고, 「John Knox의 정치사상」각주 2번).

 

9) 낙스가 태어나 교육을 받은 하딩톤은 스코틀랜드의 저지대에 속하였고, 그 저지대에 영국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어서 상업이 발전하였고 부가 축적되었다. 그리고 영어 성경이 번역되었을 때에 매우 환영을 받아 수용되었고, 대중들의 자발적인 개혁운동이 일어나 혁명적인 세력이 되었다. 낙스가 이러한 저지대 출신이 었다는 것이 그의 영국과의 영향을 주고받는데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10) 낙스가 글래스고우 대학에서 공부했다는 주장이 있는데, 1522년에 등록한 학생 가운데 “ohn Knox”라는 이름이 나타나는데, 이 인물이 종교개혁자와 동일 인물이 라면, 출생연도를 ㈓晝D�1514년으로 잡으면 8세밖에 되지 않아 가능성이 별로 없는 것같다.

 

11) W. D. Wright, "John Knox and Early Fathers," in John Knox and British Reformation, 102-8.

 

12) W. C. Dickinson, John knox's History of the Reformation in Scotland V. I (Edinburgh: Thomas Nelson and Sons Ltd, 1949), 82.

 

13) D. Calderwood, The History of the Kirk of Scotland, T. Thompson ed. (Edinburgh, 1842), I, 155, 160. Stanford Reid, 『존 낙스의 생애와 사상』, 40 에서 재인용.

 

14) Ibid., 69.

 

15) Dickinson, History of the Reformation in Scotland V. I, 82-3.

 

16) H. R. Sefton, John Knox (Edinburgh: St Andrews Press, 1991), 6-11.

 

17) Jasper Godwin Ridley, John Knox (Oxford University Press, 1968), 26-28.

 

18) Peter Lorimer는 낙스가 개혁파의 방식으로 성찬식을 거행한 것이 영국에서 청교도 신앙에 영향을 미쳤다고 서술하였다.

 

19) Jane Dawson, "Scotland and the Example of Scotland,", Theology in Scotland 16/2 (2009), 57. 55-73.

 

20) 로이드 존스는 칼라일이 『영웅과 영웅숭배』(Heroes and Hero Worshippers) 에서 낙스가 청교도의 “창시자”였다는 언급을 인용하여 인정하면서 그의 프랑크푸르트 활동을 그렇게 평가하였다. Martin Lloyd-Jones, Puritans, 서문강역, 『청교도 신앙 - 그 기원과 계승자들』(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285.

 

21) Works IV, 141-216에 수록되어 있다.

 

22) Dawson, "Scotland and the Example of Scotland," 60.

 

23) 귀족에게 보편 편지의 정식 명칭은 The Appellation From the Sentenced Pronounced by the Bishops and Cleargy: Addressed to the Nobility and Estates of Scotland (Works IV, 461-520)이고 평민에게 보낸 편지는 A Lettter Addressed to the Commonalty of Scotland (Works, 521-538)이다.

 

24) Dickinson, History of the Reformation in Scotland V. I, 136-37.

 

25) James Kirk, “John Knox and the Historians,” John Knox and the British Reformation, ed. E. A. Mason (Ashgate, 1999), 7.

 

26) Jane Dawson, Lionel K. J. Glassey and John Knox, “Some Unpublished Letters from John Knox to Christopher Goodman,” The Scottish Historical Review 84/ 218, Part 2 (Oct., 2005), 166-201

 

27) Richard G. Kyle, The ministry of John Knox: pastor, preacher, and prophet (E. Mellen Press, 2002).

 

28) Kyle, “he Thundering Scot: John Knox the Preacher,”140.

 

29) J. Douglas MacMillan, "John Knox—reacher of the Word," Reformed Theological Journal (November 1987): 6

 

30) Richard Kyle, “he Thundering Scot: John Knox the Preacher,”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63 (2002), 135. 135-149

 

31) Kyle, “he Thundering Scot: John Knox the Preacher,”143.

 

32) Richard Kyle, The Mind of John Knox (Lawrence, KS: Coronado, 1984) 38-39, 42; id., "The Hermeneutical Patterns in John Knox's Use of Scripture," Pacific Theological Review 17 (1984) 20; id., "John Knox's Methods of Biblical Interpretation: An Important Source of His Intellectual Radicalness," JRS 12 (1985) -58-62.

 

33) Richard Kyle, “John Knox: A man of the Old Testament,”Westminste Theological Journal 54(1992): 65.

 

34) Kyle, “John Knox: A man of the Old Testament,”66.

 

35) Kyle, “John Knox: A man of the Old Testament,”68.

 

36) Kyle, “John Knox: A man of the Old Testament,”68.

 

37) 낙스의 이러한 예언자 의식을 “개혁교리를 상실했다”고 평가하는 것(Dale Johnson and James McGoldrick, “Prophet in Scotland: The Self-Image of John Knox”(Calvin Theological Journal 33 (1988), 33)은 신비주의에 빠져 예언을 한 것이 아니라 구약성경 해석에 근거한 것이므로 지나친 것으로 보인다.

 

38)『종교개혁사』는 5권으로 되어 있는데, 5권은 그의 사후에 낙스의 비서나 Buchanan이 저술한 것으로 보인다.

 

39) Dickinson, History V.1, 265. 2권은 낙스가 11월에 시편 80편을 가지고 했던 설교가 끝난 후에 영국으로 사절을 파견하는 것으로 끝난다.

 

40) Robert M. Headley, “John Knox's "History" : A "Compleat" sermon on Christian Duty,” Church History 61 (1992), 320.

 

41) Peter Hume Brown, Knox, I, 31; Gordon Donaldson, “Knox the Man,” 18; MacKie, Knox, 4: Ridley, Knox, 454.

 

42) Kirk, “John Knox and the Historians,” 15.

 

43) Kirk, “John Knox and the Historians,” 16.

 

44) Kirk, “John Knox and the Historians,” 26.

 

45) 박희석, “존 낙스의 역사철학,” 「신학지남」60/4 (1993), 157. 151-170.

 

46) Ibid., 170.

 

47) Richard Kyle, “John Knox's concept of History: A Focus on the Providential and apolcalyptic Aspects sf His religious faith.” Fides and Historia, (June 1986), 8, 5-19.

 

48) Ibid., 10.

 

49) Ibid., 11.

 

50) Ibid., 14.

 

51) Healey, “John Knox's "History" : A "Compleat" sermon on Christian Duty,”319. 그렇지만 낙스가 제2권을 저술할 때, 조직교회에서는 설교할 수 없었지만, 자신과 함께 하는 개혁당에게는 설교할 수 있었으므로, 이러한 설명에 일부 무리한 해석의 측면도 있다.

 

52) Crawfford Gribbon, “John Knox, Reformation History and National Self-Fashioning," Reformation and Renaissance Review, 8/1(2006), 62.

 

53) Richard Kyle, "The Concept of Predestination, in the thought of John Knox," WTJ 46 (1984), 55, 53-77

 

54) Greaves, Theology and Revolution, 28, 29; Richard Greaves, "The Knox-ian Paradox: Ecumenism and Nationalism in the Scottish Reformation," Records of the Scottish Church History Society (Summer 1973) 91, 92.

 

55) Works. V, 130. 장덕희, “John Knox의 재세례파 비판과 그의 <<On Predestination>>에 나타난 실천적 의미에 대하여,” (안양대학교 신학석사학위논 문, 2004); 박성호, “존 낙스의 예정론의 실천적 의미,” (안양대학교 신학석사학위논문, 2004).

 

56) Kyle, "The Concept of Predestination, in the thought of John Knox," 58.

 

57) Works V. 25..

 

58) Works,. V, .27, 63-67, 70, 73, 280-81.

 

59) Works,. V, 31-32.

 

60) Works,. V, 25.

 

61) Works,. V, 25-30.

 

62) Works,. V, 36, 73, 394.

 

63) Works,. V, 61.

 

64) Works,. V, 56-60, 235.

 

65) Works,. V, 133-4.

 

66) Kyle, "The Concept of Predestination, in the thought of John Knox," 63,

 

67) Kyle, "The Concept of Predestination, in the thought of John Knox," 70. cf. Works,. V, 112-13.

 

68) Kyle, "The Concept of Predestination, in the thought of John Knox," 71.

 

69) Kyle, "The Concept of Predestination, in the thought of John Knox," 71.

 

70) Works IV, 119-28.

 

71) Works, IV, 124.

 

72) Richard Kyle, "The Major Concepts in John Knox's Baptismal Thought," Fides et Historia 21:1(1989), 25;

 

73) 서요한,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과 낙스의 개혁원리,”「개혁신학」1(1994),122. 115-154.

 

74)W. Stanford Reid, " "French Influence on the First Scots Confession and Book of Discipline,"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35/1(June 1972), 11.

 

75) Alax C. Cheyne, "The Scots Confession of 1560," Theology Today 17/3(October 1960), 324-28.

 

76) 권태경, “1560년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의 성격,” 「총신대논총」29 (2009), 348.

 

77) 서요한,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과 낙스의 개혁원리,” 125. 128; 권태경, “1560년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의 성격,” 349.

 

78) 이승구,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1560)의 독특성.” 『장로교회와 신학』4(2007), 123.

 

79) The Scots Confession 18조.

 

80) Stanford Reid, “The Book of Discipline: Chruch and State in the Scottish Reformation,” 36.

 

81) Robert M. Healey “The Preaching Ministry in Scotland's First Book of Discipline,” Church History 58/3 (Aug 1989), 342, 345. 치리서가 각 교회마다 목회자를 제공하려는 많은 방안들을 강구하였는데, 그러한 결과로 목회자가 어느 정도 충원되어 1581년 총회에서는 더 이상의 독경사는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82) Reid, “The Book of Discipline: Chruch and State in the Scottish Reformation,” 37.

 

83) Gordon Donaldson, The Scottish Reformation (Cambridge: The University Press, 1960), 170.

 

84) W. Standford Reid, “Knox's Attitude to the English Reformation,”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25 (1863), 14-15. 1-25.

 

85) Gordon Donaldson, Scotland: Church and Nation through Sixteen Centuries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Inc. 1973), 71-72.

 

86) James Kirk, “‘The Polities of the Best Reformed Kirk': Scottish Achievement and the English aspirations in church government after Reformation,” The Scottish Reformation Review, LIX, 1 (No, 167, April 1980), 39.

 

87) Kirk, “‘The Polities of the Best Reformed Kirk," 45, 51.

 

88) Robert M. Healey, "Melvillian Myth of John Knox," Fides et historia, 22/2 (Sum 1990), 27. 21-37

 

89) The forme of prayers and 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ets. used in the Englishe Congregation at Geneua approued by the famous and godly learned man, John Caluyn, 1566" (Land's The Works of John Knox, Vol. IV, 141-214.)

 

90) W. Owen Chadwick, “John Knox and Revolution,” Andover Newton Quarterly 15 (March 1975), 253. 250-66

 

91) 이은선, “John Knox의 정치사상,” 13-46; 권태경, “존 낙스(John Knox)의 개혁사상 연구: 계약사상과 저항사상을 중심으로.” 72-117.

 

92) 권태경, “존 녹스(John Knox)의 개혁사상과 여성통치에 대한 소고” 「신학지남」66/3 (1999), 299; Maria Zina Gonçlves de Abreu “OHN KNOX: GYNAECOCRACY, THE MONSTROUS EMPIRE OF WOMEN”Renaissance and Reformation Review 5/2 (2003), 173.

 

93) Jane E. A. Dawson, "The Two John Knoxes: England, Scotland and the 1558 Tracts," Journal of Ecclesiastical History, 42/4 (October, 1991), 555-76.

 

94) Dawson, "The Two John Knoxes: England, Scotland and the 1558 Tracts," 556.

 

95) 안신, “인간 이해를 위한 ‘종교적 정체성(religious identity)’ 연구의 중요성-존 녹스의 1550년대 행적을 중심으로” 「종교와 문화」12(2006), 90-91.

 

96) 안신. “인간 이해를 위한 ‘종교적 정체성(religious identity)’ 연구의 중요성-존 녹스의 1550년대 행적을 중심으로,” 91.

 

97) Scott Dolff, “The Two John Knoxes and the Justification of Non-Revolution :A Response to Dawson’s Argument from Covenant,“ Journal of Ecclesiastical History, Vol. 55, No. 1, January 2004, 63, 58-74.

 

98) Dawson, 568.

 

99) Works, IV, 504-5.

 

100) Dolff, “The Two John Knoxes and the Justification of Non-Revolution,”68, 72.

 

101) Dolff, “The Two John Knoxes and the Justification of Non-Revolution 73.

 

 

 

[출처] J Knox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작성자 어린시절

TAG •

교회사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5 스코틀란드 신앙고백서(1560)의 독특성  file 손재호 2020.06.17 1017
134 개혁교회 당회의 기원과 역사  file 손재호 2018.08.27 911
133 종교개혁 5대 솔라(Five Solas)  file 손재호 2017.10.27 6588
132 개혁교회와 한국 장로교회(허순길 박사)  file 손재호 2017.10.11 1358
131 화란 개혁교회 교회질서 해설(허순길 박사)  file 손재호 2017.10.09 1656
» 존 녹스(J Knox)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file 손재호 2017.07.26 18956
129 스코틀랜드 제2치리서 원문  file 손재호 2017.07.26 843
128 스코틀랜드 제1치리서 원문  file 손재호 2017.07.26 809
127 도르트 총회의 역사적 배경과 그 성격  file 손재호 2017.05.06 856
126 개혁교회의 형성과 발전과정  file 손재호 2017.04.15 1361
125 개혁교회와 장로교회의 차이점  file 손재호 2016.12.20 974
124 스코틀랜드 교회의 제2치리서에 나타난 장로교회  file 손재호 2015.07.31 728
123 요한 낙스와 제1치리서  file 손재호 2015.07.31 866
122 화란개혁교회의 장로직제  file 손재호 2015.07.23 621
121 화란개혁교회(31조파) 교회질서(1982년판)  file 손재호 2015.07.23 785
120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역사적 배경과 내용)  file 손재호 2015.01.27 888
119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file 손재호 2014.12.22 709
118 존 낙스의 생애와 사상  file 손재호 2014.12.21 695
117 제네바 교리문답(1542)  file 손재호 2013.08.26 683
116 제2 스위스 신앙고백서  file 손재호 2013.06.27 648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Next ›
/ 7
Designed by hikaru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