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재호 목사 Profile
창원한결교회 담임목사
연락처 : 010-3585-3604
E-mail : sohnbanaba@hanmail.net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more
tag list

댓글 0조회 수 249추천 수 29
?

단축키

이전 문서

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이전 문서

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지도자의 최대의 기쁨은 이끄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재생산하는데 있습니다. 진정한 지도자는 많은 추종자를 거느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같은 지도자를 만들어 냅니다. 이것이 진정한 지도력입니다. 진정한 지도력은 다른 사람들을 꽃피우는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다른 사람을 꽃피우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 WTB의 대표인 브루스 윌킨슨 박사는 <배우는 이의 일곱 가지 법칙>이란 책에서 다른 사람을 꽃피우는 다섯 가지 단계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꽃피워주기 위해서는 먼저 눈을 떠야 합니다. 그리고 꽃피우기 원하는 사람들을 살펴야 합니다. 그러면 그들을 격려하거나 칭찬할 수 있는 기회가 도처에 널려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누군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그 장면을 보고 그 행동이 그에게 유익하도록 잘 선용될 수 있다고 생각되면 당신이 그 행동을 직접 목격했다는 사실을 그로 하여금 알게 하십시오. 당신은 그에게 말로 표현함으로써 그의 행동을 드러내어야 합니다. 이 때 "네가 방금~했구나."라고 표현해 보십시오.


그를 탐색하고 그의 바람직한 행동을 말로 표현한 다음에는 그가 방금 행한 것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이야기해 주십시오. 방금 일어난 일에 대한 당신의 감정과 반응을 그에게 표현해야 합니다. "그것을 내게 ~을 느끼게 한다."라고 표현해 보십시오.


3단계까지는 당신이 그 누구도 꽃피우게 하지 않았다는 점을 생각하십시오. 칭찬은 단지 과거에 대해서 흐뭇한 느낌을 주기는 하지만, 완전히 미래지향적으로 만들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나는 네가 ~이 되리라고 믿는다."라고 말함으로써 당신이 기대하는 바를 알리십시오. 기대는 그로 하여금 새로운 꿈을 갖게 할 것입니다.


이제는 여러분의 기대를 그 사람의 가슴에 접착시켜야 합니다. 때로는 팔꿈치로 툭 치면서 애정을 나눌 수도 있습니다. 부드럽게 손을 잡아줄 수도 있습니다. 어깨에 손을 올려놓고 친근감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직접 터치할 수 없는 관계라면, 적절한 말과 미소, 시선을 통해서도 우리는 얼마나 사랑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 단계를 통해서 여러분은 꽃피우는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사랑하는 영적 지도자 여러분, 여러분의 인생에서 가장 큰 보상은 여러분과 같은 사람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예수그리스도께서 12명의 사도들에게 느꼈을 그 기쁨을 여러분도 함께 느껴보지 않겠습니까? 그렇다면, 여러분 주위에 꽃피워주고 싶은 사람이 누구인가를 생각하십시오. 그리고 5가지 단계에 따라 그를 꽃피워주십시오.

일반신학자료들

  1. 한국에서의 개혁주의 신학(이상규 교수)

    Date2018.08.27 By손재호 Views264
    Read More
  2. Berkhof의 언약과 이스라엘 역사

    Date2018.08.13 By손재호 Views256
    Read More
  3. 관상기도와 그 문제점(합신 이승구 교수)

    Date2017.06.29 By손재호 Views255
    Read More
  4. 신학논문 작성법

    Date2004.03.10 By손재호 Views252
    Read More
  5. 지도자의 기쁨(퍼온글)

    Date2004.03.10 By손재호 Views249
    Read More
  6. 한국교회의 성령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Date2017.04.14 By손재호 Views248
    Read More
  7. 2018년 봄 사경회 강의안(개혁교회의 역사와 그 특징)

    Date2018.03.29 By손재호 Views246
    Read More
  8. 집사의 직무

    Date2005.02.02 By손재호 Views245
    Read More
  9.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를 인정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원리

    Date2010.06.19 By손재호 Views240
    Read More
  10. 한국 교회 안에 들어온 물질주의와 성공주의

    Date2017.05.04 By손재호 Views240
    Read More
  11. 개혁교회, 교육의 주체는 주일학교가 아니고 부모이다.

    Date2017.08.18 By손재호 Views239
    Read More
  12. 집사란 무엇인가?

    Date2005.01.14 By손재호 Views237
    Read More
  13. 개혁교회를 누리는 삶(1)

    Date2018.03.23 By손재호 Views237
    Read More
  14. 산당이란 무엇인가?

    Date2018.01.24 By손재호 Views236
    Read More
  15. 야베스 기도의 본의

    Date2016.12.24 By손재호 Views233
    Read More
  16. 헌금과 그리스도인의 헌신 : 십일조 본문 재검토(오광만 교수)

    Date2022.12.30 By손재호 Views232
    Read More
  17. 이승구 교수의 칼럼(한국 교회에 들어온 물질주의와 성공주의)

    Date2016.12.24 By손재호 Views230
    Read More
  18. 개혁주의냐 복음 주의냐

    Date2013.08.26 By손재호 Views228
    Read More
  19. 교회개혁을 말하다(이승구 교수와의 대담)

    Date2017.08.18 By손재호 Views228
    Read More
  20. 예배에 임하는 자세의 중요성

    Date2005.08.06 By손재호 Views2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 9
Designed by hikaru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XE Login